(1) R&E 프로그램이란?: 한국과학영재학교의 독특한 프로그램으로서 대학교 교수님들의 지도를 받으면서 1학년 또는 2학년 학생들이 연구과제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연구체험을 통해 교육받는 프로그램이다. 본 연구실은 2002년 시범운영부터 매년 다른 연구과제를 영재고 학생들과 함께 수행하고 있다. 봄 가을 학기 중에는 매주 토 요일 수행하고, 여름과 겨울 방학에는 각 2-3주 정도의 집중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. | (2) R&E 사업목적: * 연구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영재의 과학적 탐구력과 창의성 신장을 도모하여 미래 과학 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을 꾀한다. * 과학자들의 교육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기초 과학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이루어 과학 기술 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한다. * 과학 영재 심화탐구 학습을 위한 사사교육 모형의 이론적 체계화와 타 교육기관으로의 파급 효과를 유도한다.
|
(3) R&E 운영실적:
| 제1기 2002년도 (부산과학고 시범운영)
과제명: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Typing을 통한 한국인 유전체의 Linkage Disequilibrium 양상 규명
참여학생: (사진 뒷줄 왼쪽부터) 김효진(2학년), 조은(2학년), 주영욱(1학년), 이연 이(1학년), 박영신(1학년), 손효주(1학년), 노태경(2학년)
지도교사: (사진 앞줄 왼쪽부터) 임지춘, 지도교수 강창원, 지도조교 강창수, 양 미숙 |
제2기 2003년도 (한국영재고 제1회) 과제명: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에 대한 약물반응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를 검색하는 약물 유전체학
참여학생: (사진 뒷줄 왼쪽부터) 박태윤(1학년), 이재일(1학년), 박현진(1학 년), 곽주은(1학년)
지도교수: (사진 앞줄 왼쪽부터) 강창원, 지도조교 강창수, 지도교사 임지 춘(사진에 없음)
* 관련기사1, 관련기사2 |
| |
제3기 2004년도 (한국영재고 제2회) 과제명: 개인 유전체의 단일염기 다형성 분석을 통한 발병 위험성의 예측
참여학생: (사진 왼쪽부터) 이준호(1학년), 김은진(1학년), 김형준(1학년), 이대근 (1학년), 김영재(1학년), 윤철희(1학년)
지도조교: (사진 뒷줄 오른쪽) 한태운, 지도교수 강창원(사진에 없음) | 제4기 2005년도 (한국영재고 제3회)
과제명: 쥐의 노화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발현 인자 TFAM의 관계 규명
참여학생: (사진 왼쪽 두 번째부터) 이대근(2학년), 김은진(2학년), 김영재(2 학년)
지도조교: (사진 왼쪽) 권혁진, 지도교수 강창원(사진에 없음)
*김은진 학생 2005 R&E 우수 학생 부문 장려상 수상 | | |
제5기 2006년도 (한국영재고 제4회)
과제명: 위암 유전자 발굴 유전역학 연구
참여학생: (사진 왼쪽부터) 명유호(2학년), 박미란(2학년), 이슬(2학년)
지도교수: (사진 왼쪽부터) 강창원, 지도조교 주형석 | 제6기 2007년도 (한국영재고 제5회)
과제명: 위암 연관 유전자의 동정과 기능 연구
참여학생: (사진 왼쪽부터) 김영호(1학년), 장재선(1학년), 배성재(1학년), 양 동현(1학년)
지도교수: (사진 위 오른쪽부터) 강창원, 지도조교 임병호 | |
|
제7기 2008년도 (한국영재고 제6회)
과제명: 인간 유전다양성 분석에 의한 관절염 연관 유전자 발굴
참여학생: (사진 아래 왼쪽부터) 전세연(1학년), 이내환(1학년), (사진 위) 강순영 (1학년)
지도교수: 강창원, 지도조교 김은진 |
|
|